우리의 자녀에게 꼭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 사랑? 유산? 교육?' 모든 자녀는 자라면서 자신의 생각이 커지고 고집과 아집이 강해지면서 부모와 대립하거나 갈등을 일으키죠. 자녀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물려주어야 자녀가 행복할 수 있을까요? 요즘 많은 프로그램에서 자녀와 갈등하는 부모이야기가 나옵니다. 대부분의 답은 '부모가 바뀌면 자녀도 바뀐다'이죠. 부모가 변함없이 좋은 것을 가르치고 사랑으로 양육할 때 자녀는 분명히 보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1. 올바른 가치관
올바른 가치관이란 무엇일까요?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은 옳고 그른 것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있어요.
이 도덕 표준은 기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확고한 원칙들에 근거해 있기에 다른 사람이 보지 않을 때에도 그 원칙들에 따라 행동합니다.
어떻게 올바른 가치관을 가르칠 수 있습니까?
1) 도덕 표준을 가르쳐 준다.
2) 도덕 개념을 세워 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일상생활에서 옳은 것과 그릇된 것을 대조해서 말해 주세요.
예를 들어 ‘이렇게 하는 건 정직한 거고, 저렇게 하는 건 정직한 게 아니야’ 또는 ‘이렇게 하는 건 믿음직스러운 거고, 저렇게 하는 건 믿음직스러운 게 아니야’, ‘이렇게 하는 건 친절한 거고, 저렇게 하는 건 친절한 게 아니야’라고 말해 줄 수 있습니다.
처음엔 쉽지 않겠지만 계속 말해주면 자녀는 올바른 행동과 잘못된 행동을 구분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3) 어떤 행동이 옳거나 그른 이유를 알려 준다.
예를 들어, 이러한 질문을 해 보십시오.
‘왜 항상 정직해야 할까? 거짓말을 하면 왜 친구와 사이가 나빠질까? 도둑질은 왜 나쁜 걸까?’ 그런 점을 생각해 보게 해서 자녀가 양심을 잘 틀 잡고 판단력을 발전시키게 도와주십시오.
4) 올바른 도덕관에 따라 행동할 때 유익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테면 ‘네가 정직하게 행동하면 사람들이 너를 믿을 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할 거야’ 라거나
‘네가 친절하면 사람들이 너랑 같이 있는 걸 좋아할 거야’라고 말해 줄 수 있습니다.
5) 가족 모두가 그러한 도덕 표준에 따라 살게 도와준다.
가족 모두가 같은 도덕 표준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속 행동하고 자녀에게 다음과 같이 말해보세요.
‘우리 가족은 거짓말을 하지 않아.’
‘우리는 소리 지르거나 다른 사람을 때리지 않는 거 알지?’
‘우리는 욕을 하지 않기로 했잖아.’
시간이 가면서 자녀들은 그러한 도덕 표준을 성가신 규칙이 아니라 가족의 가치관으로 여기게 될 것입니다.
가족의 가치관에 대해 자녀와 자주 대화를 나누십시오. 매일의 다양한 상황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가족의 가치관을 학교나 대중 매체를 통해 접하는 가치관과 비교해 보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 ‘너라면 어떻게 했을 거 같니?’, ‘우리 가족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하고 물어볼 수 있을 것입니다.
6) 잘한 행동을 칭찬해 준다.
자녀가 올바른 행동을 했다면 잘한 점을 언급하면서 칭찬해 주세요.
예를 들어 ‘네가 정직하게 행동하니까 아빠가 정말 기쁘구나’라고 말해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가 잘못한 일을 털어놓았다면, 잘못을 바로잡아 주기 전에 자녀가 솔직히 고백한 것을 진심으로 칭찬해 주세요.
7) 잘못한 행동을 바로잡아 준다.
자녀는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자녀가 무엇을 잘못했고, 그 행동이 가족의 가치관과 왜 어긋나는지 깨닫게 도와주십시오. 어떤 부모들은 자녀의 기를 죽여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그렇게 하기를 주저합니다. 하지만 자녀가 잘못한 행동에 대해 그와 같은 방식으로 이야기를 나누면 자녀의 양심은 옳고 그른 것을 더 잘 구분하게 될 것입니다.
8) 부모가 먼저 본을 보인다.
부모가 정직하게 행동하는 것을 보고 자라는 아이는 혼자 있을 때도 정직하게 행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부모가 가족의 가치관과 어긋나게 행동했을 때 ‘어른이니까 괜찮아’라고 생각하거나 핑계를 대는 것이 아니라,
사과하고 뉘우치는 것도 자녀에게 훌륭한 가르침이 될 거예요.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증) 나는 월요병?아이는 새 학기 증후군?불안감을 줄여주는 방법? (2) | 2024.01.07 |
---|---|
2024년 갑진년 (甲辰年) 감사로 건강시작하기 (22) | 2024.01.01 |
초조한 초등입학생 맘을 위한 초등 입학 가이드(주의!!지극히 솔직함) (2) | 2023.12.29 |
A형 독감. 타미플루 알약 vs 페라미플루 수액(간단정리) (12) | 2023.12.27 |
전동드릴 청소브러쉬 사용 리뷰. (손목약한 사람은 읽지 마시오.) (2) | 2023.12.27 |